Research Agendas

대하천 이상증식생물 발생 원인분석 및 관리기술 개발 연구(2차년도)
Director

김호준

Period

2017.03.13 ~2019.12.31

Performer

분류군별 출현양상은 실지렁이 총 3목 4과 21종 35,390개체, 깔따구 총 3목 18속 25종 108,505개체, 큰빗이끼벌레 총 3종 317개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총 5문 9강 24목 75과 161종 19,614개체가 출현하였다. 조사지점별로는 이포보에서 실지렁이, 깔따구, 큰빗이끼벌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순으로 11종 10,010개체, 21종 22,874개체, 3종 114개체, 116종 5,029개체가 출현하였다. 세종보에서 10종 11,280개체, 21종 22,147개체, 3종 26개체, 103종 3,773개체가 출현하였다. 죽산보에서 8종 5,500개체, 17종 25,466, 3종 29개체, 55종 4,363개체가 출현하였다. 강정고령보에서 7종 1,890개체, 17종 22,162개체, 3종 22개체, 73종 2,975개체가 출현하였다. 달성보에서 13종 6,710개체, 21종 15,856개체, 3종 5개체 87종 3,474개체가 출현하였다.
물리적 생물서식환경은 4대강 조사지점 대부분에서 흐름이 없었으며, 평균 25 cm이 넘는 퇴적토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화학적 생물서식환경에서는 생물의 서식 및 대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급격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 과업의 개요 2
1.1 과업의 목적 2
1.2 과업의 내용 4

II. 과업내용 및 방법 6
2.1 조사지역 선정 6
2.2 조사 일정 16
2.3 조사 방법 17
2.4 분석 방법 23

III. 과업수행 결과 56
3.1 이상증식 생물군 서식특성 정밀조사 56
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서식특성 정밀조사 319
3.3 생물 서식환경 정밀조사 379
3.4 주요발생원인 및 대발생 가능성 예측분석 467
3.5 모니터링 장치개발 및 평가 505
3.6 국내외 연구현황(사례분석) 510
3.7 종합분석 514

IV. 결론 및 향후계획 526
4.1 결론 526
4.2 향후계획 532
4.3 제안 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