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소개최상의 물종합서비스 기업, K-water 소개입니다.

HOME대국민 서비스 물관리 시설통합물관리 시설

통합물관리 시설

트위터 페이스북

영·섬유역본부는 장흥댐 등 10개의 댐 및 보 시설, 동화권 등 6개의 광역상수도, 논산 등 5개의 지방상수도 시설이 있으며
이들 시설의 최적 운영 ·관리를 통해 영·섬 유역에 안정적인 물 공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댐 및 보 시설 운영관리사업

섬진강댐

섬진강다목적댐 [이미지]

섬진강댐은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에 위치하는 대한민국의 댐으로 옛 운암댐에서 하류 방향 약 2㎞ 지점에 건설되었다. 댐 높이는 64m, 제언(堤堰) 길이는 335m이다. 만수위 표고 196.5m, 저수지 만수 면적 26.5㎢, 총 저수용량 466백만㎥, 유효저수용량 429백만㎥, 홍수조절용량 30.3백만㎥, 연간용수공급량 435백만㎥/년, 연간발전량 1971MWh (칠보발전소제외, 소수력발전소만 해당)이다.

실제 착공은 1940년 4월에 되었으나 1944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1948년에 다시 재착공되었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다시 중단되었다가 1961년 8월에 제1차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부에 의해 다시 기공되었다. 1965년 12월 20일에 준공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건설된 다목적댐이다. 이 댐의 건설로 발생한 실향민들은 부안군 계화지구 간척지에 정착시켰다.

장흥댐

장흥다목적댐 [이미지]

1980년대까지 수자원개발은 대규모 하천 본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중소규모 하천유역에 위치하는 지역사회는 용수공급이나 홍수피해 방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다. 이에 정부는 국토의 균형개발을 위해 15개 중규모 다목적댐지점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했으며, 장흥다목적댐도 그 하나로 개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장흥댐이 축조된 탐진강은 전라남도 3대강의 하나로 장흥군 유치면과 영암군 금정면의 경계에 있는 국사봉에서 발원하여 장흥군·강진군을 지나 남해로 흘러든다. 탐진강은 유치천·옹천천·부산천과 합류하여 흐르면서 유역에 용반평야·부산평야·장흥평야·강진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탐진강의 유로연장은 51.5km, 유역면적은 505㎢다.

건설교통부는 목포·장흥·강진 등 전라남도 서남해안지역에 각종 용수를 공급하고 탐진강 하류지역의 홍수를 조절하기 위해 1987년 8월 탐진댐 건설 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1996년 12월 실시설계를 완료한 뒤 1997년 11월 댐 축조에 착공하여 2006년 6월 준공했다. 댐은 전남 장흥군 부산면에 위치해 있으며, 공사가 마무리되어가던 2005년 6월 댐 명칭을 탐진다목적댐에서 장흥다목적댐으로 변경했다. 댐 호수의 명칭은 탐진호를 유지하기로 했다.

장흥댐은 높이 53m, 총저수용량 1억 9100만㎥, 발전시설용량 800㎾에 연간 발전량 4.52GWh의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이며, 건설비용은 6679억원이었다. 장흥댐은 연간 1억 100만㎥의 생·공용수, 연간 2700만㎥의 관개 및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며 홍수조절용량은 800만㎥다.

주암댐(조절지댐 포함)

주암댐전경 [이미지] 주암조절지댐전경 [이미지]

섬진강유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인구의 도시 집중화로 용수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1984년 주암댐 건설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섬진강 상류지역에는 섬진강댐·보성강댐·동복댐 등이 건설되어 있으며, 이들 댐으로부터 광주광역시 및 인근지역으로 용수를 공급해왔다.

주암댐은 섬진강 지류인 보성강에 축조된 본댐, 이사천유역 내의 조절지댐, 조절지댐 하류에 건설된 발전설비 및 역조정지댐, 그리고 본댐과 조절지댐의 양 저수지를 연결하는 도수터널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수터널을 뚫어 보성강과 이사천의 양쪽 수계를 결합함으로써 광주광역시 일원과 남해안 일대에 용수를 공급하여 수자원 이용을 극대화한 획기적인 수자원 개발사업으로 평가된다. 1984년 9월에 착공하여 1991년 12월 준공했으며, 사업비는 3706억 3300만원이었다.

주암댐은 높이 58m, 길이 330m, 체적 157만 3375㎥의 중앙차수벽형 토석댐이다. 총 저수용량은 4억 5700만㎥, 유역면적은 보성강 전체 유역면적의 77.5%인 1010㎢다. 조절지댐은 이사천 상류 13.5km 지점에 위치하며 높이 99.85m, 길이 563m, 체적 496만 5249㎥의 중앙차수벽형 토석댐으로 총 저수용량은 2억 5000만㎥, 유역면적은 134.6㎢다. 조절지댐 우안에는 시설용량 2만 2500㎾의 발전소를 건설했으며, 이 발전소로부터 방류되는 물을 모았다가 하류지역으로 공급하도록 약 2.5km 하류지점에 역조정지댐을 건설했다. 본댐과 조절지댐의 연간 발전량은 5130만㎾h다.

본댐과 조절지댐을 연결하는 도수터널은 길이 11.488㎞로 국내에서 가장 길다.·역조정지댐은 토석 및 콘크리트 중력식댐의 복합형으로 최대발전 때 방류되는 물을 가둬두었다가 용수수요에 맞춰 일정량을 방류하는 역할을 한다.

용수는 본댐으로부터 광주·목포 일원에 하루 64만㎥, 조절지댐으로부터 순천·여수·광양·여천공단 일원에 하루 67만㎥를 공급하며 8000만㎥의 홍수조절용량으로 홍수피해를 크게 경감한다. 본댐과 조절지댐 양쪽에 형성된 광대한 인공호소는 인근 명승지와 더불어 이 지역 관광 진흥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다.

담양홍수조절지

담양홍수조절지 [이미지]

담양홍수조절지는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및 월산면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한 4대강 사업일환으로 건설되었다.

담양홍수조절지는 2010년에 착공, 총사업비 1145억원을 투입해 영산강 지류인 용천에 제수문 및 횡월류제 3개소, 유출입수문3개소, 제방 7.85km의 시설을 조성해 3.75백만㎥의 홍수조절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장마철 홍수량을 초당 550톤에서 110톤으로 최대 80%를 낮출수 있게 되었다.

담조절지 내부에는 축구장, 족구장 등 체육시설, 생태체험이 가능한 습지와 관찰데크 등이 설치되어 있어 주민들의 여가활동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할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또한 ’16년에 홍수조절지 내에 드론 체험장을 설치하여 드론체험을 무료로 경험할 수 있다.

화순홍수조절지

화순홍주조절지는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및 이양면 일원(지석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한 4대강 사업일환으로 건설되었다.

화순홍수조절지는 2010.05 ~ 2013.04 약 3년간 공사를 실시하였으며, 영산강 지류인 지석천에 조절지2개소(면적1.15㎢), 유출입수문2개소, 제방 7.60km의 시설을 조성해 7.25백만㎥의 홍수조절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장마철 홍수량을 초당 730톤에서 326톤으로 최대 55%를 낮출수 있게 되었다.

조절지 내부에는 야구장, 족구장, 농구장 등의 체육시설, 생태체험이 가능한 습지와 관찰테크 등이 설치되어 있어 주민들의 여가활동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수어댐

수어댐 [이미지]

제3·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간(1972~1981년) 동안 여수시(1998년에 여수시·여천시·여천군이 여수시로 통합) 중흥동 일대에 국가공업기지 건설이 계획됨에 따라 공업용수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여수시는 부근에 풍부한 수원이 없어 약 60㎞ 떨어진 섬진강에서 용수를 취수해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섬진강은 연중 약 40일간의 갈수기에 취수가 어려워 갈수기에 대비한 비상저수용댐으로 수어댐을 계획하였다.

수어댐은 자체유입량과 섬진강 본류에 위치한 다압취수장에서 섬진강의 잉여수량을 취수해 저류한 후 여천공업단지와 인접지역의 생·공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원시설로 건설되었다.

수어댐은 높이 67m, 길이 437m, 유역면적 49㎢, 총저수용량 27.5백만㎥으로 댐형식은 댐 지점의 지형, 지질, 축조용 재료의 매장량 및 운반거리 등 경제성을 검토해 중앙차수벽형 석괴댐으로 건설하였다. 수어댐의 연간 용수공급량은 1.4억㎥/년 이다.

평림댐

평림댐 [이미지]

전라남도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등 전남 서부지역은 ‘전국 중소규모 광역상수도 조사계획’수립(1996년, 건설교통부) 결과 전국에서 가장 물 부족이 심각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각종 용수의 안정적인 공급과 하류 농경지의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남 서부권 광역상수도를 계획하고 수원시설로 평림댐 개발을 추진하였다. 평림댐은 전남 서부지역에 최대 30천㎥/일 규모의 용수공급능력을 가진 중심코어형 석괴댐 형식으로 건설된 용수전용댐이다.

평림댐 지점은 아치댐 및 중력식 콘크리트댐의 경우 타 형식에 비해 매우 불리하여 비교대상에서 제외하고 중심코어형 석괴댐, 흙댐,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등 3개 형식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몰지 내의 재료원 부존 현황 등을 고려해 중심코어형 석괴댐이 최적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평림댐은 높이 37.3m, 길이 390.5m, 총저수용량 8.5백만㎥ 이며, 연간 용수공급량은 11.8백만㎥/년 이다.

승촌보

승촌보 [이미지]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에 위치한 승촌보는 2009년 10월에 착공하여 2012년 5월에 준공되었다. 승촌보 상류 관리수위는 EL.7.50m로 유지되어 보 건설로 인해 9백만㎥의 수량을 확보하였고, 소수력발전소는 총 800kW(400kW 발전기 2대)의 시설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발전량은 4,643천kwh로, 이는 약 4천명이 일년간 사용가능하다.

보연장은 총 512m로 가동보 180m, 고정보 구간 332m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도교는 총연장 568.6m, 폭 12.5m로 차량 및 자전거의 교행이 가능하다. 옛 물길을 복원한 연장 1.88km의 구하도가 있다. 또한 승촌보에는 영산강문화관이 위치하고 있어 평일에는 자전거 종주단, 주말에는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즐겨찾고 있다.

죽산보

죽산보 [이미지]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에 위치한 죽산보는 2009년 12월에 착공하여 2012년 05월에 준공되었다. 죽산보 상류 관리수위는 EL.3.50m로 유지되어 보 건설로 인해 25.7백만㎥의 수량을 확보하였다. 소수력발전소는 총 1,220kW(610kW 발전기 2대)의 시설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발전량은 5,692천k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는 약 5천명이 일년간 사용가능하며, CO2 저감량 3천8백톤(소나무 119만 그루) 및 유류 약 1만배럴의 대체효과가 있다.

죽산보는 열린 나루터와 가동보 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설운영을 위한 공도교, 스톱로그교, 유지관리교 등으로 되어 있다. 보 연장은 총 L=622 m × B=5.34 m 로 시설운영에 필요한 유지관리 차량, 자전거 및 도보 보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죽산보 인근 지역명소로는 나주영상테마파크, 나주천연염색문화박물관, 고분군, 석관정나루터, 빛가람전망대, 다야예술공원, 대지예술공원, 죽산수변공원 등이 자리 잡고 있다.

광역 및 공업용수도사업

동화권 광역상수도

동화정수장 전경 [이미지]

[동화정수장 전경]

전라북도 남원시·장수군·임실군과 전라남도 곡성군 일원에 생활 및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동화댐계통광역상수도사업은 1996년 10월에 공사에 착수하였다. 동화댐을 수원으로 한 이 사업은 2002년 12월에 가서야 완공되었는데, 시설 용량은 하루 5만 2,000㎥이다.

급수 보급률은 사업 전 37.3%에서 완공 후 83.2%로 크게 향상되었으며, 1인당 급수량은 305%에서 326%로 증가하였다. 사업비는 공사비 748억 3,200만원, 보상비 23억 1,300만원, 관리비 및 기타 73억 8,000만원 등 총 845억 2,500만원이 들어갔다.

전남남부권 광역상수도

전남남부권광역상수도 전경 [이미지]

[전남남부권광역상수도 전경]

건설교통부는 영산강의 수질오염 등으로 취수원 확보가 곤란한 전라남도 목포시·무안군·해남군 등 서남부지역의 9개 시·군에 장흥댐을 수원으로 하여 부족한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전남남부권 광역상수도 1단계 사업을 추진하였다.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K-water는 2001년 5월에 착공하여 2007년 5월에 완공하였다. 주요 시설로 정수장 1개소, 가압장 6개소, 상수도관로 340㎞를 건설하였다. 특히 이 사업은 물속의 불순물에 작은 공기방울을 부착시켜 물 표면으로 띄워 제거하는 최신 DAF(Dissolved Air Flotation) 공법, 즉 ‘용존공기부상공법’을 적용하여 냄새 발생 물질을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더욱 맛있는 수돗물을 생산하게 되었다.

사업비는 공사비 2,808억 2,000만원, 보상비 380억 8,700만원, 관리비 및 기타 321억 5,900만원 등 총 3,510억 6,600만원이 들어갔다. 이 사업의 완공으로 해당 지역의 급수 보급률은 52.2%에서 86.3%로 향상되었으며, 1인당 하루 급수량은 346ℓ에서 408ℓ로 증가하였다.

전남서부권 광역상수도

전남서부권광역상수도 전경 [이미지]

[전남서부권광역상수도 전경]

전라남도 서부권인 장성군·함평군·영광군·담양군 등의 지역은 2016년 기준 하루 용수부족량이 2만 8,000㎥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K-water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평림댐 광역상수도로부터 이 지역에 필요한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업을 전개하였다. 총 사업비는 1,971억원이 투자되었다.

이 사업을 완료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급수 보급률이 37.7%에서 79.7%로 향상되었으며, 1인당 급수량은 하루 224ℓ에서 332ℓ로 증가하였다.

주암댐 광역상수도

전남서부권광역상수도 전경 [이미지]

[화순정수장 전경]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목포시·나주시·화순군에 생활 및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보급하기 위한 주암댐계통광역상수도사업은, 1988년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단계별로 실시하였다. 즉 다목적댐을 수원으로 하여 1단계 사업은 1996년에, 2단계 사업은 2000년에 각각 완료하였다.

이 사업의 시설 용량은 하루 80만㎥이며, 총 사업비는 1,969억 4,100만원 투자되었다. 이 사업이 차질 없이 마무리되어 급수 보급률은 기존 88%에서 96%로 향상되었으며, 1인당 평균 급수량은 314ℓ에서 386ℓ로 증가하였다.

대불공업용수도

정수장 전경 [이미지]

[정수장 전경]

정부는 목포권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서해안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1988년 7월에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면에 대불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하였다. 1989년 9월 착공된 1단계 공사는 1992년 5월에, 1990년 8월에 착공된 2단계 공사는 1994년 5월에 조성이 완료되었다.

공업용수사업은 1단계 공사를 한창 진행 중이던 1990년 12월에 착공하여 1994년에 완공하였다. 이로써 영산호를 취수원으로 하여 대불국가산업단지에 하루 6만㎥의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사업비는 329억원으로, 전액 국고에서 부담하였다.

광양공업용수도

별량정수장 전경 [이미지]

[별량정수장 전경]

광양공업용수도는 여수국가산업단지 및 광양제철 공업용수와 여수·순천·광양시 등 인근도시 주민의 생활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사천 및 섬진강에서 하루 평균 약 82만㎥의 원수를 취수하여 전남 여수시·순천시·광양시·고흥군·보성군 일대에 원수 및 정수를 공급하는 사업인 여천공업용수도 사업 및 광양Ⅰ~Ⅲ단계 사업은 1974년 5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단계적으로 시행되어 안정적인 용수공급 중이다.

시설은 취수장 2개소, 가압장 3개소, 정수장 1개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25~3,000Hp 모터펌프 24대, 1,500~10,000KVA 변압기 14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용수공급 시설용량은 1,080㎥/일(수어댐 540㎥/일, 이사천취수장 540㎥/일)로 운영·관리 중 관로는 279㎞이다.

지방상수도 효율화사업

나주

나주 [이미지]

[나주수도관리단 전경]

나주시는 수도시설의 노후화와 낮은 유수율 등 현안사항 해소를 위하여 2008년 3월 K-water와 ‘나주시지방상수도 운영 효율화 시행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사업은 2008년 7월부터 착수하였으며, 사업기간은 사업 착수 후 20년간이다. 대상시설은 나주시지방상수도 시설이며, 업무 범위는 시설 운영관리 및 개선, 고객 및 요금 관리 등이다.

총사업비는 932억 8,700만원이며, 이중 시설개선비는 404억 4,470만원, 운영관리비는 시설물 및 관로 운전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으로 20년 동안 528억 4,0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누수량 저감 편익 등 총 545억원의 편익을 기대하고 있다.

완도

완도 [이미지]

[완도수도관리단 전경]

완도군은 대한민국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201개(유인도 54개, 무인도 147개)의 도서로 구성되어 있는 지리적 특성 등으로 인하여 수돗물 생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도서별로 산재되어 있는 시설물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K-water는 2010년 5월 전문기술진을 구성하여 기술진단을 실시하였고 2012년 10월 ‘완도군지방상수도 운영 효율화사업 시행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 사업기간은 사업 착수 후 20년이며, 업무는 수도시설 운영관리, 시설 개선, 고객 및 요금 관리 등이다.

운영관리비는 1,177억 8,300만원이며, 시설개선비는 운영효율화 기간 동안 총 813억원을 투자하기로 하였다.

K-water는 총 사업비 1,172억원을 투자하여 유수율을 제고하고, 시설물의 자동화·정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예상되는 유형효과는 유수율 제고를 통한 누수량 저감편익 등 총 151억 1,600만원이다.

장흥

장흥 [이미지]

[장흥수도관리단 전경]

장흥군은 1970년 2,000㎥/일 규모의 남동정수장을 신설한 이래 1981년과 1994년에 시설 확장이 이루어 졌으며 7,900㎥/일 규모의 수돗물 공급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비용 상승 해소 및 유수율 제고 등 지방상수도 시설운영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K-water 전문기술진이 기술진단을 실시한 후 2012년 12월 ‘장흥군지방상수도 운영 효율화사업 시행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 사업기간은 사업 착수 후 20년이며, 업무는 수도시설 운영관리, 시설 개선, 고객 및 요금 관리 등이다.

운영관리비는 482억 9,300만원이며, 시설개선비는 운영효율화 기간 동안 총 304억 5,600만원을 투자하기로 하였다.

K-water는 총 사업비 787억 4,900만원을 투자하여 유수율을 제고하고, 시설물의 자동화·정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예상되는 유형효과는 유수율 제고를 통한 누수량 저감편익 등 총 92억 2,700만원이다.

진도

진도 [이미지]

[진도수도관리단 전경]

진도군은 1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남남부권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에서 19,720㎥/일(지방 8,720㎥/일, 광역 11,000㎥/일)의 공급시설을 갖추고 수돗물을 공급해 왔으나 도서지역의 지리적 특성 등으로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경영악화가 초래되고 운영관리 및 서비스 제공에 한계에 있어 상수도 문제의 근원적인 대책을 마련하고자 K-water가 사업진단을 실시한 후 2012년 12월 ‘진도군지방상수도 운영 효율화사업 시행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 사업기간은 사업 착수 후 20년이며, 업무는 수도시설 운영관리, 시설 개선, 고객 및 요금 관리 등이다.

운영관리비는 807억 9,700만원이며, 시설개선비는 운영효율화 기간 동안 총 552억 6,200만원을 투자하기로 하였다.

K-water는 총 사업비 1,360억 5,900만원을 투자하여 유수율을 제고하고, 시설물의 자동화·정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예상되는 유형효과는 유수율 제고를 통한 누수량 저감편익 등 총 56억 7,400만원이다.

함평

함평수도센터 전경 [이미지]

[함평수도센터 전경]

함평군은 10,750㎥/일의 수돗물 공급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지방상수도 수원의 수질악화와 정수장 시설 및 급배수 관망의 노후화로 인한 수돗물 생산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수관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2009년 6월 ‘함평군지방상수도 운영 효율화사업 시행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 사업기간은 사업 착수 후 20년이며, 업무는 수도시설 운영관리, 시설 개선, 고객 및 요금 관리 등이다.

운영관리비는 509억 3,100만원이며, 시설개선비는 운영효율화 기간 동안 총 171억 9,600만원을 투자하기로 하였다.

K-water는 총 사업비 681억 2,600만원을 투자하여 유수율을 제고하고, 시설물의 자동화·정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예상되는 유형효과는 유수율 제고를 통한 누수량 저감편익 77억원 등 총 112억원이다.